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Java & JSP & Spring

[Spring] IoC, DI 란?

스프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IoC/DI 일 것이다.

 

IoC란 Inversion of Control의 줄임말로 한글로 번역하면 제어의 역전이라는 말이다.

"제어의 역전" 이라는 의미는 말 그대로 메소드나 객체의 호출작업을 개발자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의 역전 개념은 이미 폭넓게 적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바 프로그램은 main() 메소드에서 시작해서

개발자가 미리 정한 순서를 따라 객체가 생성되고 실행된다.

그런데 서블릿을 생각해보자. 서블릿을 개발해서 서버에 배포할 수는 있지만, 배포하고 나서는 개발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대신 서블릿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진 컨테이너가 적절한 시점에

서블릿 클래스의 객체를 만들고 그 안의 메소드를 호출한다.

 

이 방식은 대부분의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개발자는 필요한 부분을 개발해서 끼워 넣기의 형태로 개발하고 실행하게 된다.

프레임워크가 이러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개발자는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부품을 개발하고,

조립하는 방식의 개발을 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코드의 최종 호출은 개발자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워크의 내부에서 결정된 대로 이뤄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제어의 역전"이라고 표현한다.

 

스프링은 그 자체가 "구조를 설계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라는 뜻이다. 

 

대부분 프레임워크에서 IoC를 적용한다. 때문에 스프링을 IoC 컨테이너라고만 해서는 스프링을 정확히 정의할 수 없다.

스프링이 여타 프레임워크와 차별화돼서 제공해주는 기능은 의존관계 주입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할 때

분명히 드러난다.

 

DI란 Dependency Injection의 줄임말로 한글로 번역하면 의존성 주입이라는 말이다.

"의존성 주입"은 제어의 역행이 일어날 때 스프링이 내부에 있는 객체들간의 관계를 관리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

자바에서는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의존적인 객체의 관계를 최대한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의존성 주입은 말 그대로 의존적인 객체를 직접 생성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객체에 필요한 객체를 외부에서 결정해서 연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우리는 클래스의 기능을 추상적으로 묶어둔 인터페이스를 갖다 쓰면 되는 것이다.

나머지는 스프링에서 객체를 주입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의존성 주입으로 인해 모듈 간의 결합도가 낮아지고 유연성이 높아진다.